요올로롸이푸 님의 블로그

건축에 관련된 모든 지식을 나누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 2025. 4. 4.

    by. 요올로롸이푸

    목차

      초고속 엘리베이터, 자동화 환기 시스템, 탄소중립 자재…
      우리는 건축이 언제나 진보의 상징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시계를 거꾸로 돌려 수천 년 전으로 돌아가 보면,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됩니다.
      고대인들도 자연을 이해하고, 환경에 순응하며, 공간을 조절하는 지혜를 이미 실현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고대 문명에서 발달한 주요 건축 기술과 설계 아이디어들이 어떻게 현대 건축에 재해석되어 활용되고 있는지를 소개합니다.
      '전통은 진보의 반대말'이 아니라, 지속 가능성과 생존성을 증명한 디자인 언어입니다.


      2. 피라미드의 냉방 원리 – 수동형 건축의 시작

      2-1. 고대 건축

      이집트 피라미드는 외부가 40도 이상인 날씨에도 내부는 항상 20도 안팎을 유지합니다.
      이는 거대한 석재의 **열질량(thermal mass)**이 외부 열을 흡수·완충해 온도 변화를 막아주는 원리입니다.
      또한 내부 통로 구조는 자연 통풍을 유도하여 공기 흐름을 유지합니다. 이는 **수동형 냉각 시스템(Passive Cooling)**의 시초라 볼 수 있습니다.

      2-2. 현대 건축 적용

      • 현대 친환경 주택에서는 단열재 없이도 열 완충이 가능한 고밀도 자재를 벽체로 사용합니다.
      • 중동 지역의 병원, 박물관 등에서는 이 원리를 활용한 ‘패시브 쿨링 환기 설계’가 실현되고 있습니다.
      • 대표 사례: 아랍에미리트의 ‘Eastgate Centre’ (자연 냉방 건물)

      3. 자구라트의 계단형 구조 – 수직 정원의 원형

      3-1. 고대 건축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자구라트는 흙벽돌로 층층이 쌓아 만든 구조입니다. 각 층은 제의의 공간이자, 기후 조절용 테라스로 활용되었습니다. 일부 설에 따르면, 작물 재배가 가능했던 수직 농업 구조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3-2. 현대 건축 적용

      • 현대의 옥상 녹화 시스템, 수직 정원(vertical garden) 개념은 이러한 계단형 건축의 확장입니다.
      • 고층 건물의 외벽이나 중간층에 자연 요소를 배치해 도시의 열섬 현상을 줄이고, 미세먼지를 흡수합니다.
      • 대표 사례: 밀라노의 보스코 베르티칼레(Bosco Verticale), 서울의 SK그린타워

      4. 바드기르(Wind Catcher) – 자연 환기 시스템

      4-1. 고대 건축

      이란, 이집트, 중동 지역의 고대 건축에는 바드기르(Wind Catcher)라는 공기유도 탑이 있습니다.
      이 구조물은 외부 바람을 실내로 끌어들이고, 더운 공기는 위로 배출해주는 자연 통풍 시스템입니다.
      에어컨이 없던 시절, 실내 온도를 15도 이상 낮출 수 있는 구조였습니다.

      4-2. 현대 건축 적용

      • 패시브하우스나 에코하우스에 바드기르 개념이 반영되어 에너지 소비 없는 자연 환기 방식이 적용됩니다.
      • 세계적인 공항과 박물관 설계에도 해당 구조가 도입되고 있으며, LEED 인증 건물의 주요 요소 중 하나입니다.
      • 대표 사례: 카타르 교육도시 도서관, 스페인 알메리아 공항

      5. 돌쌓기 기술 – 접착제 없는 구조 설계

      5-1. 고대 건축

      잉카 제국이나 몰타의 고대 신전은 시멘트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돌과 돌 사이를 완벽하게 끼워 넣는 기술로 유명합니다.
      중력과 균형만으로 안정성을 확보한 이 구조는 지진에도 강한 특징을 가집니다.

      5-2. 현대 건축 적용

      • 친환경 건축에서 ‘무시멘트 조적’ 기술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 현대 전통 한옥 복원, 석조건물 리노베이션 등에서 접착제 없이 쌓는 방식이 수명 연장과 자연 분해 측면에서 이점이 있습니다.
      • 대표 사례: 제주 석담길, 현대 석조 담장 건축

      6. 흙집과 자연 소재 – 탄소중립 건축의 시초

      6-1. 고대 건축

      중앙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에는 아직도 흙으로 지은 집이 많습니다. 흙은 단열성이 뛰어나고, 습도 조절 능력도 탁월합니다.
      **기와, 볏짚, 진흙 혼합 소재(코브, Adobe)**는 생산에 에너지가 거의 들지 않아 탄소 배출이 거의 없는 건축 자재로 분류됩니다.

      6-2. 현대 건축 적용

      • 최근 친환경 건축에서는 Adobe 집, Strawbale House 등 전통 흙집 기술을 현대식으로 재해석한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 일부 도시에서는 건축법을 개정해 흙과 목재 기반의 대체 자재 사용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 대표 사례: 독일 프라이부르크 에코빌리지, 미국 뉴멕시코의 어스십 하우스

      7. 한옥 온돌 – 세계가 주목한 저에너지 난방 구조

      7-1. 고대 건축

      한옥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온돌(溫突)**입니다. 불을 때서 발생한 연기가 구들장을 지나며 바닥을 데우는 이 구조는, 겨울이 긴 한반도 기후에 맞춘 최적의 난방 시스템이었습니다.

      온돌은 단열성과 축열성 모두 뛰어나며, 바닥 전체가 고르게 따뜻해져 몸 전체에 열이 전달됩니다. 이는 곧 난방 효율성의 극대화를 의미하며, 현대 난방 방식과 비교해도 여전히 경쟁력을 갖습니다.

      7-2. 현대 건축 적용

      • 현대 주택의 바닥 난방 시스템은 온돌의 원리를 바탕으로 전기 패널 또는 온수 순환 방식으로 개발되었습니다.
      • 특히 에너지 절약형 패시브하우스에서 온돌 구조를 활용한 저에너지 지열 난방 방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 대표 사례: LH 패시브하우스 시범단지, 한국형 에코 하우스 모델 주택 등

      8. 한옥 기와지붕 – 배수와 미관을 모두 잡은 곡선 기술

      8-1. 고대 건축

      기와지붕은 곡선의 선이 살아 있는 미학이자, 실제로는 매우 실용적인 기능을 가진 구조입니다.
      기와는 겹겹이 배열되어 있어 빗물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며, 처마 끝이 길게 돌출돼 지붕 타고 흐르는 빗물이 외벽으로 튀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기와의 흙 재질은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 효과도 뛰어납니다. 곡선 지붕은 겨울철엔 눈이 쌓이지 않고, 여름철에는 직사광선을 완화해주는 기능까지 겸합니다.

      8-2. 현대 건축 적용

      • 최근 전통 건축 요소를 적용한 공공건축물이나 커뮤니티 센터, 학교 등에 기와 곡선 지붕을 현대화한 배수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 기와 형태의 고강도 세라믹 타일이 개발되어 미관과 기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도시형 한옥 리노베이션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대표 사례: 서울 북촌 전통주택 리모델링, 한국가구박물관, 남산 국악당

      건축


      9. 마무리 – 고대에서 배운 지속 가능성

      인류는 수천 년 전에도 이미 지속 가능한 건축의 답을 알고 있었습니다.
      단지 기술이 없어서가 아니라,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이해했기 때문입니다.

      현대 건축은 더 높이, 더 빠르게, 더 화려하게 짓는 시대를 지나
      이제는 더 오래, 더 건강하게, 더 친환경적으로 지어야 하는 시대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해답은 때때로 수천 년 전의 지혜 속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꿈꾼다면, 오래된 것을 먼저 살펴보는 일에서 시작해야 할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