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고급 건축물의 외관이나 실내 공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리석이나 화강석 마감, 알고 보면 정교한 기술과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석공사(石工事, Stone Work)**의 결과입니다. 석공사는 단순한 장식이 아닌, 구조적 내구성과 미적 품격을 동시에 요구하는 마감 공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석공사의 정의, 석재의 종류, 시공 공정과 방법, 석재 가공 방식, 시공 시 유의사항, 하자 사례 및 원인, 철물 앵커의 종류 및 시공법까지 건축 실무에 꼭 필요한 내용을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석공사의 정의와 석재의 종류
1.1 석공사의 개념
석공사란 천연석(자연에서 채취한 석재)이나 인조석(가공된 합성석재)을 가공하여,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 바닥, 벽체, 계단, 조경 요소 등에 시공하는 공정입니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어 상업시설, 호텔, 아파트, 공공건축물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1.2 석재의 주요 분류
- 천연석
- 화강석(Granite): 외벽, 바닥, 옥외 포장 – 내마모성과 강도 우수
- 대리석(Marble): 실내 벽, 바닥 – 무늬 아름답고 고급감 뛰어남
- 석회암(Limestone): 조경, 내장재 – 색감 부드럽고 가공 쉬움
- 사암(Sandstone), 슬레이트(Slate), 트래버틴(Travertine), 청석(Bluestone) 등
- 인조석
- 테라조(Terrazzo): 대리석 파편 혼합, 디자인 자유도 높음
- 엔지니어드 스톤: 천연석 분말+수지, 주방 상판, 욕실에 활용
- 인조 화강석, 폴리머 콘크리트 등은 경제성과 가공성이 우수
2. 석공사의 시공 방법 및 석재 가공
2.1 시공 공정
- 사전 준비: 도면 확인, 석재 샘플 승인, 설치 부위 검토
- 석재 가공: 절단, 표면 처리, 모서리 가공, 번호 매김
- 시공 방식
- 습식공법: 모르타르나 접착제를 이용해 시공. 바닥, 실내 벽체에 적합
- 건식공법: 철물 앵커로 고정. 고층 외벽, 대형 외장재에 적용
- 줄눈 마감 및 청소: 실란트, 방수 처리, 보호 필름 부착
2.2 석재 표면 가공 방법
- 연마(Polished): 석재 표면을 미세하게 연마해 거울처럼 반짝이는 고광택 표면을 만듭니다. 주로 실내 바닥재, 벽체, 욕실, 로비 등 고급 인테리어 공간에 사용되며, 관리가 용이하고 내오염성이 좋습니다. 그러나 외부 바닥에 사용 시 미끄럼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버너구이(Flamed): 고열의 화염을 석재 표면에 가해 표면을 거칠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외부 계단이나 바닥처럼 미끄럼 방지가 필요한 곳에 적합하며, 내마모성과 강도가 뛰어납니다. 주로 화강석 등에 사용됩니다.
- 혼드(Honed): 연마와 유사하지만 광택을 없앤 무광 마감입니다. 부드러운 촉감과 자연스러운 색감을 표현할 수 있으며, 내부 벽체와 바닥에 많이 사용됩니다. 눈부심 방지와 세련된 분위기 연출에 유리합니다.
- 브러쉬드(Brushed): 강모 브러시를 이용해 표면을 가볍게 긁어 자연스럽고 따뜻한 질감을 표현합니다. 실내 마감, 벽면 장식, 가구 등에 자주 사용되며, 부드러우면서도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출 수 있습니다.
- 샌드블라스트(Sandblasted): 고압의 모래를 분사해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는 방식입니다. 외벽이나 간판에 적용되며, 은은한 질감과 반사율 감소 효과가 있습니다.
- 브시해머(Bush-Hammered): 철제 망치나 드럼 해머로 표면을 타격해 불규칙한 요철을 형성합니다. 외부 벽면, 방진 공간 등에 적합하며, 강한 내충격성과 미끄럼 방지 성능을 제공합니다.
- 톤버스트(Split Face): 석재를 물리적으로 깨서 자연스럽고 입체적인 질감을 만들어냅니다. 외벽 마감, 조경석 등에 활용되며, 자연석 특유의 느낌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톱날가공(Sawn): 기계 절단 그대로의 표면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비교적 거친 표면을 가지며, 구조용 석재나 바탕석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표면 가공 방식은 단순히 외관뿐 아니라 미끄럼 방지, 방오 성능 등 기능성과도 직결되므로 용도에 따라 신중히 선택해야 합니다.
3. 석공사 시공 시 유의사항과 하자 사례
3.1 시공 시 유의사항
- 석재 색상과 무늬는 산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샘플 승인과 현장 매칭 필수
- 건식공법에서는 철물 시공 오차가 전체 외관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침
- 온도와 습도에 따라 줄눈 간격과 신축 이음 설계 반영 필요
- 석재 뒷면 방수처리, 부착재 혼합비 준수, 사전 균열 및 평활도 검사가 중요
3.2 시공 하자 사례와 원인
하자 유형발생 원인특징 예방 방법탈락 접착력 부족, 철물 부실 석재 들뜸 또는 낙하 접착제 적정 사용, 철물 4점 고정 백화 수분 증발 시 염분 침출 표면 흰 얼룩 뒷면 방수, 저알칼리 접착제 균열 외력, 온도 변화, 시공오차 모서리 또는 줄눈부 신축이음 확보, 철물 정확 시공 스파링 동결융해, 철물 부식 석재 표면이 깨짐 수분 유입 방지, 배수 구조 확보 줄눈 벌어짐 열팽창, 실란트 노후화 물 침투, 외관 저하 실란트 점검 및 재충전 이 외에도 철물 간격이 너무 넓거나 레벨이 맞지 않아 들뜸이나 울렁거림이 발생하는 경우도 흔하게 관찰됩니다.
4. 석공사에 사용되는 철물 앵커 종류 및 시공법
4.1 주요 앵커 종류
- 앙카 볼트: 콘크리트에 직접 삽입하여 브래킷 고정
- 케미컬 앵커: 구멍에 접착 수지와 앵커 삽입 → 고정력 우수
- 앵글 브래킷: 수직·수평 하중을 분산, 중량 석재 고정
- 핀형 앵커: 측면 고정용. 얇은 석재에 적합
- Z형 브래킷, 슬라이딩 앵커, 디스크 앵커 등도 구조나 외관 목적에 따라 선택
4.2 건식공법 시공 절차
- 레벨 설정 및 위치 측정 → 2) 콘크리트 천공 및 앵커 삽입
- 브래킷 체결 및 석재 홈 가공 → 4) 석재 설치 및 체결
- 줄눈 실링 및 방수 마감
✅ 팁: 스테인리스(SUS304 이상) 재질 사용 권장, 팽창·수축에 따른 유동 고려, 앵커 최소 4점 이상 고정 필요
5. 마무리 – 고급성과 내구성을 모두 잡는 석공사의 정수
석공사는 단순히 ‘돌을 붙이는 일’이 아닙니다. 석재의 물리적 특성, 표면 가공, 시공 디테일, 구조적 고정, 방수 및 유지관리까지 정밀한 기술과 설계가 결합된 고기능 마감공사입니다.
건축물의 수명과 품격은 디테일에서 시작된다는 말처럼, 석공사의 성공은 설계, 재료 선택, 시공 정밀도, 유지관리까지 모든 공정이 조화롭게 이루어질 때 비로소 실현됩니다.'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실무에 꼭 필요한 급탕설비, 이거 모르고 현장 나가지 마세요! (0) 2025.03.26 급수설비 모르면 현장 민폐?! 건축 실무 전에 꼭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 (0) 2025.03.26 건축 균열, 구조적 vs 비구조적 구분법 한눈에 보기 (0) 2025.03.26 "건축감리도 OK한 철근 정착 디테일, 여기 다 있다! (0) 2025.03.26 신입사원이 실수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이것만은 꼭 알고 가자! (0) 2025.03.25